당뇨약7 [의학지식] DPP-4 억제제의 부작용은? DPP-4 억제제 당뇨병 환자분들이 혈당 관리를 위해 복용하는 DPP-4 억제제. 비교적 안전한 혈당강하제로 알려져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은 DPP-4 억제제의 주요 부작용과 그 원인,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 증상 지금 바로 확인하기 당뇨병 셀프 체크리스트 바로가기 DPP-4 억제제란? DPP-4 억제제는 혈당을 조절하는 인크레틴 호르몬의 분해를 억제하여 혈당을 낮추는 약물입니다. 혈당이 높은 상황에서만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므로 저혈당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당뇨병 환자분들이 복용하고 있습니다. DPP-4 억제제의 주요 부작용 및 원인▶ 소화기계 부작용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 DPP-4 억제제가 소화기관 내 인크레틴 호르.. 2025. 2. 23. [의학지식] 설포닐유레아(SU)란? 설포닐유레아란 무엇인가요? 설포닐유레아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 혈당강하제입니다.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뇨병 증상 확인하기 당뇨병 자가진단 바로 확인하기설포닐유레아의 작용 기전설포닐유레아는 췌장 베타 세포에 있는 설포닐유레아 수용체에 결합하여 ATP 민감 칼륨 통로를 닫습니다. 칼륨 통로가 닫히면 베타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하고, 이는 인슐린 과립의 세포외 배출을 유도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합니다. 설포닐유레아의 치료 효과설포닐유레아는 혈당 강하 효과가 뛰어나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 모두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1. 혈당 강하 효과설포닐유레아는 공복 혈당과 식.. 2025. 2. 3. [의학지식] DPP-4 억제제란? DPP-4 억제제 : 제2형 당뇨병 치료의 핵심 요법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인슐린 분비 저하로 인해 혈당이 상승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DPP-4 억제제라는 새로운 계열의 약물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DPP-4 억제제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다른 당뇨병 치료제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 증상 지금 확인하기 당뇨병 셀프 체크리스트 DPP-4 억제제란 무엇인가요?DPP-4 억제제는 디펩티딜 펩티다제-4(DPP-4)라는 효소를 차단하는 경구용 혈당 강하제입니다. 우리 몸은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호르몬을 사용하는데, 그중 인크레틴이라는 호르몬이 중요한.. 2025. 1. 11. [의학정보] SGLT-2 억제제란? SGLT-2 억제제는 기존 당뇨병 치료제와는 차별화된 기전으로 혈당 조절은 물론 심부전, 신장 질환에도 효과를 보이는 혁신적인 약물입니다. ☞☞☞당뇨병 증상 지금 확인하기☞☞☞ 당뇨병 셀프 체크리스트 바로가기SGLT-2 억제제란? 한국 시작에 가장 먼저 허가된 SGLT-2 억제제는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입니다. 2013년도 한국 식품의약안전처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이후 만성 심부전과 만성 신장병 환자에서도 심장과 신장의 기능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임이 보고되었습니다. 아쉽게도 2025년 포시가는 시장에서 사라질 예정이지만, HK이노엔의 다파엔정이 동일한 질환에서 처방이 될 예정입니다. 포시가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한국 시작에는 다양한 복제약 즉 카피약이 나왔습니다. 카피약은 오리지널 의약품과 .. 2025. 1. 8. [의학정보] 당화혈색소, HbA1c 란? 건강검진지를 받아 들었는데, 당뇨라고 합니다.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가 높다는 설명이 있는데, 당화혈색소가 무엇인가요? 당화혈색소는 당뇨병 진단의 핵심 지표이지만, 그 의미를 정확히 아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오늘은 당화혈색소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당화혈색소란 무엇일까요? 당화혈색소(HbA1c)는 혈액 속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포도당이 결합된 형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혈액 속 포도당이 헤모글로빈에 달라붙어 '당화'된 것입니다. 당화혈색소는 혈액 속 포도당 농도와 적혈구 수명에 영향을 받습니다. 적혈구는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파괴되므로, 당화혈색소는 혈당 변화를 반영합니다. 즉, HbA1c 값의 약 50%는 지난 30일, 40%는 31-90일, 10%는 91-120일 동안의 혈당 노출을 반영합.. 2025. 1. 4. [의학지식] 당뇨약 메트포르민이란? 당뇨병은 혈액 속 포도당 수치가 높아지는 질환으로, 현대 사회에서 가장 흔한 만성 질환 중 하나입니다. 또한,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신경 손상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당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약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메트포르민은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당뇨병 치료제입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메트포르민은 효과적인 혈당 강하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처방되고 있습니다. 당뇨병 증상 지금 확인하기 당뇨병 셀프 체크리스트메트포르민의 역사 메트포르민의 역사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프랑스 라일락(Galega officinalis)이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이 혈당을.. 2024. 12. 31. 이전 1 2 다음